2025/03/12 3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스위스,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할까?

스위스 벨린초나를 여행하던 어느 날, 울창한 숲길을 걷다가 길을 물을 일이 생겼다. 마침 지나가던 한 스위스인이 친절하게 길을 알려주더니, 스위스에 온 걸 환영한다며 미소를 지었다. 그리고는 마지막으로 한 마디를 덧붙였다."이곳의 자연은 우리 것이 아니야. 우리보다 먼저 있었고, 우리보다 오래 남아 있을 거야. 우리는 그저 잠시 머물다 가는 존재일 뿐이니까, 자연을 망가뜨릴 권리는 없어."그의 말이 유난히 가슴 깊이 박혔다. 그리고 문득, 우리나라의 현실이 떠올랐다.지금 한국에서는 야산이 사라지고, 녹지 지역이 순식간에 아파트 숲으로 변해가는 광경이 너무나도 익숙하다. 공무원의 결재 도장 한 번에 수십, 수백 년을 이어온 숲이 하루아침에 사라진다.스위스를 여행하면서 느낀 것은 단순한 풍경의 아름다움이 아..

라이프스타일 2025.03.12

이스라엘과 시리아, 왜 끝없이 대립하는가?

이스라엘과 시리아는 20세기 초부터 지금까지 끊임없는 갈등과 전쟁을 이어오고 있다.두 국가는 왜 이토록 대립하는 것일까?이를 이해하려면 중동의 복잡한 역사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아래 역사적 타임라인을 통해 이스라엘과 시리아의 대립이 어떻게 시작되고 발전했는지 정리해 보았다.이스라엘과 시리아의 갈등 타임라인연도주요 사건내용1916년사이크스-피코 협정영국과 프랑스가 비밀리에 오스만 제국의 땅을 나누기로 합의. 시리아는 프랑스가, 팔레스타인은 영국이 점령.1917년발포어 선언영국이 유대인들에게 팔레스타인 땅에 "유대인 국가"를 세우도록 지지. 아랍인들의 반발 시작.1947년UN 팔레스타인 분할안유엔이 팔레스타인을 유대인 국가(이스라엘)와 아랍 국가(팔레스타인)로 분할하는 계획 발표. 시리아 등 아랍 국가들은 ..

프랑스, 'AI 규제 완화' 카드 꺼냈다 – 유럽의 변화 신호탄?

프랑스 정부가 AI 규제를 완화하고, AI 스타트업 및 연구개발(R&D)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다.이는 유럽이 AI 규제로 인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비판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유럽은 그동안 개인정보 보호 및 AI 윤리 기준을 우선시하는 규제 중심의 정책을 유지해 왔다.하지만 이러한 정책이 AI 산업의 성장과 혁신을 저해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프랑스가 가장 먼저 규제 완화와 AI 산업 투자 확대라는 변화의 신호탄을 쏘아 올린 것이다.과연 프랑스의 이 정책이 유럽의 AI 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올 것인가?그 가능성과 도전 과제를 분석해 보자.1. 프랑스의 AI 규제 완화 – 주요 내용프랑스 정부의 AI 정책 변화- AI 기업이 데이터 활용 및 알고리즘 개발을 더욱 자유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