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곽복원 3

문화재 복원인가, 재현 쇼인가?

1.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란 무엇인가?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의 보존·복원·수리에 필요한 기준과 절차를 정리한 공식 지침서다.이 시방서는 전통 건축 기법과 재료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보수 방법을 조화롭게 적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전통 재료 사용 원칙: 목재, 돌, 흙, 기와 등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는 재료 사용을 권장전통 기법 유지: 원래의 축조 방식(조적, 미장, 목구조 등)을 반영환경과의 조화: 문화재 주변 환경과 기존 구조물과의 일관성 유지기록 및 검증: 수리 과정에서 문헌적 근거 확보 및 철저한 기록 유지하지만 이 기준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가? [2023. 05. 08 - 문화재청 질의]1. 남수문 균열2. 동남각루에서 창룡문 구간, 성곽 보존 관리 심각 수준3...

수원 화성, 성곽 보존 관리 실태 – 이게 문화재 관리라고?

한번 떠올려보자. 조선 정조가 미래를 내다보며 설계한 수원 화성,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이 아름다운 성곽이… 관리 부실로 너덜너덜해지고 있다면?  1. 갈라지고, 깨지고, 기울고…동남각루에서 창룡문까지 가는 길, 원래는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며 걸어야 하는데, 요즘은 성벽의 상태를 감상해야 할 판이다. 여장은 갈라지고, 옥개석은 깨지고, 성벽은 기울어지고… 마치 조선시대의 장인들이 "우린 여길 대충 지을 거야"라고 말한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문제는, 그 장인들이 아니라 현대의 보수 관리 책임자들이 이걸 방치했다는 거다.2. 아파트가 성곽을 밀어내는 기적!성곽 앞에 새로 올라가는 1,154세대의 아파트. 네, 맞다. 아파트와 문화재가 공존하는 대한민국의 기적적인 조합이다. 성벽 바로 앞 마을은 철거됐지..

각성이 필요한 '성곽 잇기 사업'

최근 진행되고 있는 '성곽 잇기 사업'의 결과물을 보면, 행정 역량에 대한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다. 이 사업이 단순한 복원을 넘어 원형의 의미를 훼손하고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는 것이 아닌, 원래의 취지와 맞지 않는 형식적인 재건이 이루어지고 있다.1. 성곽 잇기의 본질적인 목적은 무엇인가?성곽을 연결하는 사업이 단순히 물리적인 연결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이는 역사적 의미를 간과한 것이다. 수원 화성은 조선 정조 대에 설계된 성곽으로, 정밀한 구조와 심미성이 결합된 세계문화유산이다. 하지만 현재 진행 중인 성곽 잇기 사업은 이러한 본질을 고려하지 않고, 형식적인 연결에 집중하고 있다.2. 수원 화성의 일원(一元)으로서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는가?수원 화성은 1996년 '화서문 성곽 잇기'..